메가트랜스퍼: 3단계로 알아보는 RAM 혁명 🚀
주요 결과
- 이전에는 RAM을 클록 사이클을 기준으로 MHz로 측정했지만, 이제는 데이터 전송에 MT/s를 사용합니다.
- MT/s는 MHz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아닌 이론적인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냅니다.
- RAM을 Mbps로 평가하면 MT/s와 비교했을 때 실제 데이터 이동을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일부 컴퓨터 사양에 RAM 속도가 기존의 메가헤르츠 대신 MT/s 또는 "초당 메가전송" 단위로 나열되어 있는 것을 눈치채셨을 것입니다. 왜 이런 변화가 생겼나요?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전에 RAM 사양이 작동한 방식
전통적으로 RAM은 메가헤르츠로 평가되었는데, 1MHz는 100만 개의 클럭 사이클을 나타냅니다. 컴퓨터 하드웨어는 사각파로 표현되는 클록 사이클에 따라 작동하며, 파동의 피크와 밸리는 단일 사이클을 나타냅니다. RAM은 각 사이클마다 읽기나 쓰기와 같은 하나의 메모리 작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즉, RAM을 1MHz로 실행하면 매초 100만 번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이를 통해 RAM의 속도를 계산하기가 매우 쉬워졌습니다. 133MHz RAM을 사용한다면 266MHz RAM보다 절반 정도 빠릅니다. 그러나 DDR(Double Data Rate) RAM이 발명되면서 파동의 피크와 밸리 모두에서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실제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두 배로 늘어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
따라서 133MHz DDR은 실제로 266MHz의 기존 RAM만큼 빠릅니다.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 대부분의 RAM 제조업체는 자사의 DDR RAM을 일반 RAM의 MHz 등급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케팅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당신은 다음과 같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DR4 3200MHz RAM이지만 클럭속도는 실제 RAM은 1800MHz에 불과합니다.
성능 측정 기준으로서 MHz의 문제점
그렇다면 문제는 무엇일까? 글쎄요, 우선 이는 RAM에 대한 마케팅 사양이 기술적으로 부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더 중요한 점은, 메가전송은 실제로 옮길 수 있는 데이터 양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메가헤르츠와 일대일 분석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MT/s 사양은 1초에 전송할 수 있는 이론적인 최대 데이터 양입니다. RAM은 항상 정격 주파수에서 작동하지만 컴퓨팅 작업 부하의 변화에 따라 항상 최대 MT/s 속도에 도달하지는 않습니다. 📊
메모리로서 RAM의 미래도 고려해야 합니다. QDR (쿼드 데이터 레이트)는 클록 사이클당 4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2개는 읽기용이고 2개는 쓰기용입니다. 이를 MHz로 표현하는 것은 훨씬 더 복잡하므로 실제 데이터 볼륨을 처리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입니다. 🔍
대규모 이체는 더 합리적이지만 전체 그림은 아닙니다.
저는 MT/s가 MHz보다 RAM 성능을 측정하는 데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완벽하지 않으며 전체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한편, RAM 지연 시간도 중요하지만, 데이터 전송 성능에 초점을 맞추면 위험도는 더욱 높아집니다. 📈
알다시피, 메가트랜스퍼에서 실제로 이동되는 데이터 양은 메모리 버스의 폭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한 번 전송할 때 이동할 수 있는 비트 수입니다. 최신 컴퓨터의 주요 RAM은 수년 동안 64비트로 유지되어 왔습니다. 즉, 버스 폭이 같은 두 RAM 모듈을 직접 비교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그러나 GDDR(그래픽 DDR)은 훨씬 더 넓은 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GPU VRAM의 경우 MT/s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로우엔드 GPU는 128비트 버스를 가지고 있고, 256, 384, 512비트 버스가 더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RAM을 초당 메가비트(Mbps)로 평가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RAM이 이론적으로 실제로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옮길 수 있는지를 정확하게 알려줍니다. 이미 많은 메모리 제조업체가 이런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만약 당신이 보면 사양서 삼성 메모리 모듈의 경우 MT/s가 아닌 Mbps로 평가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MHz와 MT/s가 모두 제거되고 전체 메모리 대역폭이 정확히 얼마인지 알 수 있습니다. 💾
결국 MT/s와 Mbps 중 어느 것이 우세할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어느 쪽이든 RAM의 MHz 등급이 더 이상 성능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세 가지 모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러니 차이점을 아는 게 가장 좋을 것 같아요! 🧐